|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장애대학(원)생 학습권 보장을 위한 국가와 대학의 지원체계를 강화한다. 또 대학 내 장애학생 지원의 책무성·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특별지원 위원회 위원 구성을 다양화하고 장애학생지원센터의 장의 자격을 구체화한다....
성년후견을 받는다는 이유로 요양보호사 자격증 발급을 거부당한 지적장애인에 대해 법원이 성년후견을 종료했다. 민법상 성년후견이 시작된 원인이 ‘소멸’하면 성년후견을 끝낼 수 있지만, 지적장애 등은 완치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법원이 종료 청구를 받아들이는 경우는 드물...
[고래 꿈을 꾸는 아이] 시청각장애인의 교육으로 살펴본, 교육의 목적과 삶에 대한 인식가르치기 어려운 아이들, 배우기 어려운 아이들이 있다. 이들은 가르치지 못한다는 것이 아니라, 배우지 못한다는 것이 아니라, 아이마다 특별한 접근이 필요한 것이기도 하다. 특별한 아이들의 평범...
고용노동부(장관 이정식)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사장 조향현)은 올해부터 중증장애인 출퇴근 비용지원 대상을 기존 최저임금 적용 제외 인가자*에서 기초·차상위 중증장애인 근로자까지 확대하였고, 지원 규모도 2022년 3,850명에서 약 4배로 증가한 15,000여 명으로 확대된...
<앵커>발달장애인은 일상생활을 이어가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치료를 받아야 해 비용 부담이 큽니다. 정부의 치료 지원금이 13년 만에 인상됐는데요, 장애아 가족들은 오히려 부담이 커졌습니다.어떻게 된 일인지, JIBS 신윤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기자>7살 발달장애아를 키우...
| 언제까지 '부모 희생'에 기댈 수 없어…지원 늘려야 [편집자주] 매년 100여명 장애인이 버려진다. 버려진 장애인들은 장애와 고아라는 이중고를 견디며 살아야 한다. 현재 전국 장애인거주시설에 사는 장애인 중 부모가 없는 장애인은 7000여 명. 버림받은 장애인들의 삶을 조명한...
지난 3년간 코로나19로 인한 마스크 착용 생활화,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말을 익히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이들이 많다. 전문가들은 마스크 착용을 비롯해 부모와의 애착관계 형성, 뇌 기능 손상 등 언어발달 지연의 정확한 원인을 찾아 최소 만 3세 이전에는 치료를 시작해...
동구한마음종합복지관에서는 장애청년들을 대상으로 인생설계학교를 열고 학생들을 모집합니다.○ 일시 : 월요일~금요일 / 오전 9시30분 ~ 오후 4시 30분○ 이용 기간 : 1년1. 1학기 : 3월~7월2. 2학기 : 9월~12월3. 계절학기 : 2월/8월○ 참여 대상1. 인천 거주 주민 중 만 18세 이상 ~ 만 3...
|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 개별화지원시스템 구축 등 추진| “장애인의 삶을 바꿀 장애인정책 마련되길”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이하 한국장총)은 지난 10일 공동대표단회의를 열고 ’2023년 장애계 5대 활동 정책과제‘를 선정했다.지난 2009년부터 한국장총은 장애계 현안이 될 주요 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