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별 선택권 강화 핵심, 예산 증대·법 개정 과제| 복지부 “엄청난 제도개혁 예상, 의견수렴 등 노력”5월 10일 윤석열 정부 출범을 앞두고, 윤 당선인의 핵심 공약인 ‘장애인 개인예산제’ 도입 논의가 시작됐다.장애인 이용자의 선택권 강화가 목적인 만큼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에 맞...
| 2022년부터 3년 간 한시사업올해부터 장애인 노동자를 신규로 고용한 사업장은 노동자 1명당 한 달에 최대 80만원을 지원 받는다. 고용노동부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은 장애인 고용 의무가 없는 50인 미만 사업장(5인 미만 사업장은 제외)이 올해 1월1일 이후 장애인 노동자를 새로 고...
전국장애인부모연대가 24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앞에서 '발달장애인 24시간 지원 체계 구축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단체는 "발달장애인의 80% 이상은 일상생활에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하고, 그 중 부모의 도움이 필요한 비율은 지적장애인 72.8%, 자폐성 장애인 98.5%로 전적으로 부...
| 자폐스펙트럼장애 치료는 조기 진단과 향후 아이의 독립적인 삶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부모들은 24개월 정도의 아이가 ▲이름을 불러도 반응이 없고 ▲잘 웃지 않으며 ▲특정 행동을 반복한다면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의심한다. 그러나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증상과 중증도가 다양하...
인권침해에 대한 자기옹호가 어려울 수 있는 도내 거주 발달장애인 및 뇌병변장애인 1인 가구 10명 중 1.4명꼴로 학대를 받은 정황이 드러났다. 경남도와 경남도장애인권익옹호기관이 공동으로 실시한 '2021년도 장애인 인권 침해 예방 실태 조사' 결과에서다. 도내 1인 가구 발달장애인 ...
| 중증도 따라 교육방식 바꿔야…국가도움도 다양| 아이 강점도 봐주기…전문가와 함께 문제 해결부모는 자녀가 자폐스펙트럼장애라는 사실을 안 순간부터 마음의 짐을 안고 살아가며 앞으로 어떻게 양육해야 할지도 큰 고민이다. 전문가들은 일반아동과 본질적으로 크게 다르지 않지만 중...
| 다시 태어나도 나의 자녀로 태어나줘영화를 찍겠다고 엄마, 아빠를 인터뷰했을 때다. 학교생활은 어땠냐고 묻자 엄마가 말했다.“매일같이 벽돌 날랐어. 학교에서 배우는 거 하나도 없었어. 기숙사에 살았는데 새벽같이 일어나 건축 자재를 나르며 학교 건물을 직접 지어야 했어.” ...
디지털로 장애인에게 돌봄을 하는 방법은 학대 예방과 생활편의 제공, 원격 의료 지원, 재난 예방, 안전 유지, 보호자와 장애인에게 정보 제공 등을 목적으로 한다. 단순 인력에 의한 지원은 시기적절성을 담보할 수 없으며, 인력의 무제한적 지원의 한계성도 있어 디지털 기술의 활용이 ...
| 수명, 소득 감안해 기준 하향 필요| 미국 장애인법에서는 40세로 규정2022년도 설이 지나갔다. 필자를 비롯해 모든 사람의 나이가 한 살 더 많아졌고, 이는 그 만큼 노령층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뜻하기도 한다. 우리는 흔히 만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노인복지법을 근거...
| 말뭉치 학습 AI 가상인간| 실시간 수어로 청각장애 돕고| 한층 똑똑해진 TV셋톱박스| 시각장애용 음성인식 서비스| 넷플릭스 등 OTT는 사각지대| 정부, 자막편성 의무화 검토올해 미디어 시장은 시청각장애인들의 편의성을 높이는 착한 기술의 원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KT, LG...